페이지

2011년 12월 20일 화요일

고성 화진포 고 이승만 대통령 별장


 
인물사진 
이승만 대통령
                                                    이 대통령의 자유수호의 참뜻을 느끼며
 
 
 
 
     느끼게 합니다.
    북녘에 두고 온 산하와 가족을 그리는 실향민과 통일을 염원하는 이들을 위한 성모상,
    미륵불상, 전진철탑 등 종교적인 부대시설과 장갑차, 탱크, 비행기 등 어린이 안보교육용
    전시물이 있습니다
    남북의 최고권력자가 화진포를 별장지로 택한 것은 물오리 떼가 노니는 한적한 호수,
    병풍처럼 호수를 감싸고 있는 울창한 소나무 숲, 끝없이 펼쳐진 해안선과 고운 백사장
    등 천혜의 절경 때문입니다.
    또한 지금은 길이 닦이고 다리가 놓여 교통이 편리해졌지만 당시 화진포 일대는
    일반인들이 출입하기 어려운 지역으로 완벽한 보안유지가 가능했기 때문입니다.
■ 이승만 전 대통령 별장
     건립하였습니다. 이승만 전 대통령에게 헌상해 사용했으나 4.19 이후 이용자가
     없어 크게 훼손, 60년대 육군이 이를 철거했었습니다.
    이승만 대통령 별장은 54년 이기붕의 처 박마리아가 단층 27평으로 신축, 이 전 대통령에게
    헌사했고 이 전 대통령 부부는 수시로 이 곳에서 여름휴가를 보낸 것으로 전해집니다.
     그러나 박정희 정권이 들어서면서 사용하지 않아 건물이 낡아 크게 훼손됐으며,
     60년대 초 육군에서 철거한 뒤 바로 위쪽 언덕에 58평 규모로 새로 지었습니다.
 
     이 신축 별장은 79년 박정희 전 대통령이 쉬어가기도 했으며 이승만 별장과 구별하기
     위해 화진포 별장으로도 불렸습니다.
     신축된 이승만 별장은 철거한 옛 별장 터에 자리잡았습니다.
     옛 별장 터에 원형대로 신축, 복원한 이승만 별장은 이 전 대통령의 청소년 시절부터
    
     해외 독립운동 전개시기, 초대 대통령 취임이래 6.25전쟁을 치르고 퇴임 후
     국립묘지에 안장되기까지 관련 역사 사진들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 전 대통령의 육성과 활동상을 담은 기록필름이 멀티비전으로 상시 상영될 뿐
     아니라 이 전 대통령이 사용했던 침대와 서재, 두루마기, 석사와 박사 학위증서,
 
     친필휘호 등 유가족이 기증한 유품이 놓여 있어 그의 애국심과 검소한 생활상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이승만 대통령 별장에는 집무실, 침실, 응접실 등이 그대로 재현되어 있습니다.
     특히 당시 사용하던 놋그릇세트, 침대, 화장대, 낚시도구, 두루마기 등 진품이 그대로
     전시돼 탐방객들의 눈길을 끕니다.
     이 곳에는 이 전 대통령이 사용했던 침대와 서재를 비롯해 두루마기 친필휘호 석,
     박사 학위증 등 다양한 유품이 진열됩니다.
 
 
 
                                   이승만 대통령과 프란제스카여사
 
                                    이승만 대통령의 통일의지를 엿보며
                                                자나 깨나 통일의지
 
                                 부국 강병 자유통일 의지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던 이승만 전 대통령

                         이승만대통령의  생활 모습은 어땠을까요?

          전해지는 이야기에 의하면 이승만대통령은 영부인인 프란체스카 여사가 
          꿰메주는 양말 신는 것을 좋아하기도 했다죠.

              이 사진은 1958년 9월 27일 북한산 문수암 등산길에 찍힌 모습입니다.
             당시 83세였을텐데,,, 북한산 등산을 했다니, 매우 건강하셨던 모양입니다.


                        이승만대통령 가끔 나무도 하셨나요?
                   아무튼 백발의 할아버지가 방석까지 깔고앉아 톱질하는 것을 보니,
               사람이 나무를 하는건지, 나무가 사람을 하는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장소는 애완견이 계속 등장하는 것을 보니, 경무대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아! 위의 사진을 보면 사진속에 계속해서 개가 등장을 하고 있죠?

           아마도 이승만대통령은 애견가였던것 같습니다.
           무려 가족사진까지 함께 찍으니 말이에요~ㅎㅎ

            말 나온김에 마지막으로 이승만대통령의 가족사진을 올립니다.
저작자 표시
 반공포로의 석방
1953년 3월 이래 휴전회담이 급속히 진전되는 과정 속에서 한국정부의 저항이
또 다른 심각한 문제가 되었습니다. 많은 인명과 재산의 손실을 겪은 북한의
 
침략전쟁을 분단상태의 종식으로 마감하려는 데서 한국의 통일정책이 좌절을
겪게 된 것입니다. 더구나, 공산군의 점령치하에서 강제적으로 의용군으로
 
징집되었다가 포로가 되거나 또 국군포로로 공산군에 강제편입되었다가
다시 포로가 된 반공포로를 공산측에 양도한다는 것은 이승만 대통령으로서는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입장이었습니다. 이승만은 휴전은 일종의 자살행위이며
필요하다면 한국군 독자적으로 전쟁을 수행하겠다고 공언하였습니다.
 
한국민들도 통일정책을 지지하여 휴전을 반대하는 시위를 계속하였고
이승만의 태도는 완강하여 한국대표로 하여금 휴전협상을 거부할 것을 지시하기에
이르렀고 6월 18일 새벽에 이승만 대통령은 미국에 사전예고도 없이
 
한국포로감시원으로 하여금 2만7000명에 달하는 반공포로를 석방시켜
버렸습니다. 이승만은 이것이 자기의 명령임을 명백히 하고 군경에 대하여
석방된 반공포로를 보호하도록 명하였습니다.
 
이러한 돌발사태 속에서 공산측은 미국을 이승만의 공범자라 맹렬히
비난하였습니다. 이사건은 세계가 놀라는 커다란 민족의 쾌거였습니다.
 
평화선선언.
1952년에 접어들면서 일본 어민들은 4월 28일을 손꼽아 기다렸습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일본이 연합국 측과 제2차 세계대전 종결을 위해
1951년 9월 8일 체결한 강화조약이 그날 발효되기 때문이었습니다.
 
일본을 점령한 미국의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은 일본 어민들이 ‘본토’ 주변의
정해진 선을 벗어나 조업할 수 없도록 했습니다. ‘맥아더 라인’으로 명명된
이 선은 강화조약 발효와 동시에 폐지될 터였습니다.
 
1952년 1월 18일. 100일 뒤면 동해는 일본 어민들의 텃밭이 될 판이었습니다.
바로 이날 바다 건너, 6.25전란에 휩싸인 대한민국의 임시수도 부산에서 청천벽력
같은 소식이 날아들었습니다.
 
대한민국 대통령 이승만이 ‘확정한 국제적 선례에 의거하고 국가의 복지와
방어를 영원히 보장하지 않으면 안 될 요구에 의하여’ 해안에서 50∼100마일에
이르는 해상에 선을 긋고 ‘인접 해양에 대한 주권 선언’을 한 것입니다.
  일본으로선 아연실색할 노릇이었습니다. 일본은 이를 ‘이승만 라인’이라 부르고
  철폐를 강력히 요구했습니다. 우방인 미국, 자유중국도 비난했으나 이승만은
  까딱도 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한일 간의 평화를 위한 것이라며 ‘평화선’으로
  불렀습니다.
 
  일본 정부가 어민들에게 ‘이승만 라인’을 무시하라고 하자 한국 정부는 군함까지
  동원해 ‘평화선’을 넘는 일본 어선을 가차 없이 나포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일본
  어민 1명이 숨지기도 했습니다. 1961년까지 나포된 일본 어선은 300척이 넘고
  억류된 일본인은 4000명에 가까웠습니다.
 
  평화선은 어업 보호의 절박함이 낳은 산물입니다. 당시 국내 어선을 모두
  더한 총톤수는 10만 t. 그나마 대부분이 무동력선이었는데 일본은 총톤수
  200만 t에다 그중 상당수가 한국 경찰선보다 빠른 ‘첨단’이었습니다.
 
  맥아더 라인이 사라지면 한국의 어업이 침몰할 것은 뻔했던것 입니다.
  그렇다고 평화선이 어업의 보호만을 노린 건 아닙니다. 평화선 안에 독도를
  포함시킨 것이 절묘했습니다.
 
  강화조약의 ‘일본이 포기할 지역’에 독도를 넣어 달라는 요구가 거부되자
  선수를 친 것입니다. 다급해진 일본은 열흘 뒤 ‘한국의 일방적인 영토 침략’이라며
  ‘독도 문제’를 쟁점화했으나 이미 기선을 제압당한 뒤였습니다.
 
  항일 투사 이승만의 쾌거인 평화선이 한일 국교정상화 조약 조인(1965년 6월 22일)과
  함께 역사 속으로 사라지자 우리 국민은 울분을 토했는데. “얻은 것은 돈이요,
  잃은 것은 평화선이다.” 라고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