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도 미리 배워 두어야한다
살아 있는 모든것은 때가 되면 그 생을 마감한다
이것은 그 누구에게도 어길 수 없는
생명의 질서이며 신비이다
만약 삶에 죽음이 없다면
삶은 그 의미를 잃게될것이다
죽음이 삶을 바쳐주기때문에
그 삶이 빛날수있다
그래서 죽음 복도 타고나야한다고 한다 
살만큼 살다가 명이 다해 가게되면
병원에 실려가지않고 평소살던 집에서
조용히 죽음을 맞이하는것이
지혜로운 선택일것이다 
이미 사그라지는 잿불 같은 목숨인데
약물을 주사하거나 산소호흡기를 들이대여
연명의술에 의지하는것은
당사자에게는 큰 고통이될것이다
우리가 한평생 험난한 길을 혜쳐오면서
지칠대로 지쳐 이제는 푹 쉬고 싶을 때
흔들어 깨워 이물질을 주입하면서
쉴수없도록 한다면

그것은 결코 孝가 아닐것이다
현대의술로도 소생이 불가능한 경우라면
조용히 한 생애의 막을 내리도록
거들고 지켜보는 것이 자식들의
도리일것이다
될수있으면 평소 낮익은 생활공간에서
친지들의 배웅을 받으며서

삶을 마감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병원에서는 존엄한 인간의 죽음도
한낱 업무로 처리되여 버린다
마지막 가는길을 낯선 병실에서
의사와 간호사가 지켜보는가운데서
맞이한다면 결코 마음 편히 갈 수 없을것이다
사람에게는 저마다 고유한 삶의 방식이 있듯이 
죽음도 그 사람다운 죽음을 택할 수 있도록
이웃들은 거들고 지켜 보아야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가 일찍부터 삶을 배우듯이
죽음도 미리 배워 둬야 할 것이다
언젠가는 우리들 자신이
맞이해야 할 사실이기 때문이다
ㅡ아름다운 마무리에서 발췌ㅡ
살아 있다는 것은 행복이다
삶은 소유물이 아니라 순간순간의 있음이기에.
우리가 걱정해야 할 것은 늙음이 아니라 녹스는 삶이다.
살 때는 삶에 철저하게 그 전부를 살아야 하고
죽을 때는 죽음에 철저하게 그 전부가 죽어야 한다.
홀로 있어도 의연하고 늘 한 자리에 서 있는 나무처럼
살면서 그 누구의 복제품이 되려고 하지 말고
홀로 있어도 의연하고 늘 한 자리에 서 있는 나무처럼
살아야 한다
이 나무의 나이가 몇이죠?
그 나무의 나이를 알고자 함이 아니라
언제나 그 자리에 한결같이 서 있음에 대한
우리의 감사의 표현 일것이다
세상의 먼지가 온 몸에 두드러기 같은 부작용을 일으킬 때
영혼의 울림을 담은 글들은 청정한 소나무 숲에서
며칠 동안 산림욕을 경험한 것처럼 의식을 정화시킨다.
한 장 한 장 넘어가는 책장 소리에서
그분의 음성을 듣는 듯하다
그런 점에서 홀로 살되 홀로 살지 않는다
우리는 글을 통해서 세상 모두와 연결되어 있다
옮긴글-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