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2013년 6월 12일 수요일

공산 침략이 빚은 6.25 참상


공산침략이 빚은 6.25. 참상

▲ 1950. 9. 30. 전화(戰禍)로 폐허가 된 대전역.  
▲ 1950. 11. 24. 불타버린 서울역 앞 세브란스 병원.
 
▲ 1950. 10. 7. 불타고 있는 김포 비행장.  
 
▲ 1950. 10. 18. 전화에 그을린 중앙청.  
 
▲ 1950. 10. 18. ”국파산하재(國破山河在) “,
멀리 북악산과 중앙청 돔이 보인다. 
 
 
▲ 1950. 9. 20. 왜관, 낙동강 철교 복구 공사 
 
▲ 1950. 10. 12. 미조리호 군함에서
청진항을 향해 함포사격을 가하고 있다. 
 
 
▲1950. 10. 20. 400여 명의 낙하산 부대가 
평양부근에 투하되고 있다. 
 
 
 ▲1950. 12. 18. 북한군에게 뿌린 귀순 권유 전단.  
 
▲1950. 11. 2. 적십자사에서 피난민에게 구호물자를 나눠주고 있다.  
 
▲1950. 10. 13. 경기도 파주, 참혹하게 학살된 시신들.  
 
▲1950. 11. 1. 서울 중앙청 앞 지금의 문화관광부 자리.
주민들이 폐허더미에서 땔감이나 돈이 될만한 물건을 찾고 있다
 
 
▲1950. 11. 2. 원산의 한 성당. 
폐허가 된 성당 내부를 신도들이 청소하고 있다. 
 
 
▲1950. 11. 6. 북한의 어느 농촌.  탈곡한 볏단을 달구지에 싣고 있다.  
 
▲1950. 11. 6. 북한의 어느 농촌. 전란 중에도 추수를 하고 있다.
바람개비로 알곡을 가리는 농부들. 
 
 
▲1950. 11. 19. 북한의 한 지하 무기 공장 내부.  
 
▲1950. 11. 20. 국경지대. 
미군들이 소달구지로 보급품을 운반하고 있다. 
 
 
▲1950. 11. 18. 미군 폭격으로 파괴된 흥남 비료공장.  
 
▲1950. 11. 18. 미군 폭격으로 파괴된 흥남 송전소.  
 
▲1950. 11. 23. 함경도 갑산. 미군 폭격으로 성한 집이 드물다.  
 
▲1950. 11. 1. 황해도 평산에 진격하는 유엔군을 
두 여인이 전신주 뒤로 불안한 눈길로 바라보고 있다. 
 
 
▲1950. 12. 4. 평양을 떠나 대동강을 건너 후퇴하는 국군.  
 
▲1950. 12. 6. 황해도 사리원.
남행하는 피난열차에 피난민들이 몰려들고 있다
 
 
▲1950. 12. 8. 경기도 금촌, 38선을 넘어 후퇴하는 유엔군 차량들.  
 
▲1950. 12. 9. 끊어진 한강철교.  
 
▲1950. 12. 10. 포화에 불타는 마을.  
 
▲1950. 12. 12. 한강 부교를 통하여 후퇴하는 차량들.  
   
▲1950. 12. 12. 피난민들이 한강을 나룻배로 건너고 있다.  
 
▲1950. 12. 12.  유엔군들이 인천항을 통해 장비들을 후송시키고 있다.  
 
▲1950. 12. 12. 유엔군들이 후퇴하면서 
다리를 폭파시키고자 폭약을 장치하고 있다. 
 
 
▲1950. 12. 3. 평양, 남행 피난민 행렬 속의 한 소녀.  
 
▲1950. 12. 10. 중공군의 참전으로 강추위 속에 후퇴 행렬.
한 병사가 너무 추운 날씨로 모포를 뒤집어쓰고 있다. 
 
 
▲ 1950. 12. 12. 흥남부두, LST 함정에 가득 탄 군인과 피난민들.
미처 함정에 오르지 못한 피난민들이 발을 동동거리고 있다.
대부분의 피난민들은 원자탄이 투하된다는 말에 피난 행렬에 
나섰다고 한다. 몇 날의 피난 길이 50년이 더 지났다. 
 
 
▲1950. 12. 14. 서울역, 남행 피난민들이 북새통을 이루고 있다.  
▲1950. 12. 16. 흥남, 
국군과 유엔군들이 후퇴하고자 부두에서 수송선을 기다리고 있다.
 
▲1950. 12. 27. 흥남, 얕은 수심으로 수송선이 해안에 닿을 수 없자 유엔군들이 바다에 뛰어들어 LST로 가고 있다.  
 
▲1950. 12. 24. 흥남, 유엔군들이 철수 후 부두를 폭파시키고 있다.  
 
▲1950. 12. 19. 묵호. 흥남에서 철수한 장비를 
묵호(동해)항에 내리고 있다. 
 
 
▲1950. 12. 28. 서울, 피난민들이 강추위 속에 
한강 얼음을 깨트리며 나룻배로 남하하고 있다. 
 
 
▲1951. 1. 5. 피난 행렬 속의 소년과 소녀. 
소달구지가 힘겨워하자 힘을 보태고 있다. 
 
 
▲1950. 10. 11. 서울 교외, 부서진 북한군 전차 위에서  아이들이 놀고 있다.  
 
▲1950. 11. 1. 전란으로 폐허가 된 서울.  
 
▲1950. 12. 28. 끊어진 한강 철교. 오른쪽은 임시로 만든 부교.  
 
▲1951. 1. 3. 한강 철교 부근의 언 강을 피난민들이  걸어서 건너고 있다.  
▲1951. 3. 16. 서울 중구의 수도극장(현 스카라 극장) 일대.
 
▲1951. 3. 16. 하늘에서 내려다 본 중앙청 광화문 세종로 일대.  
 
▲1951. 3. 16. 비행기에서 내려다 본 왕십리 일대. 
멀리 고려대학교 건물이 보인다.
 
▲1951. 3. 16. 하늘에서 내려다 본 서울역 일대.  
 
▲1951. 3. 16. 하늘에서 내려다 본 중앙청, 경복궁, 수송동,  팔판동 일대.  
 
▲1951. 3. 19. 구호 양곡을 먼저 탄 소년과  양곡을 타기 위해 줄을 선 주민들.  
 
▲ 1950. 10. 12. 원산. 학살된 시신들.  
 
▲1950. 12. 11. 고단한 피난길.  
   
 ▲1950. 12. 16. 폭격에 엿가락처럼 휘어진 철교.  
 
▲1950. 12. 17. 보급품을 실은 화물 열차가 폭격에 불타고 있다.  
 
▲1950. 12. 18. 대구.
훈련소에서 교육을 마친 신병들이 전선으로 가고자  대구역전 광장에 집결해 있다. 
 
 
▲ 1950. 12. 18. 전방으로 떠나는 신병들.  
 
▲1950. 12. 18. 대구역. “총알을 요리조리 잘 피해서 어예든동  살아 오이라.”
“어무이 걱정 꽉 붙들어 매이소. 어무이 아들 아잉기요. 
내는 꼭 살아 돌아올 깁니다.” 
 
 
▲1950. 12. 21. 경북 왜관. 낙동강 철교 어귀에 부서진  북한군 소련제 탱크.  
 
▲1951. 1. 20. 아버지와 아들의 피난길.  다른 가족은 전란에 모두 죽었다.  
 
▲1950. 6. 18. 6.25 한국전쟁 발발 일주일 전  의정부 북방 38 접경에서 
미 국무장관 덜레스 (가운데) 일행이 38선 너머  북쪽을 살피고 있다.
(덜레스 오른쪽 신성모 국방장관). 
 
 
▲1950. 6. 18. 미 국무장관 덜레스 일행이  38 접경 지대를 살피고 있다.
 
▲1950. 7. 한미 수뇌부들이 환담하고 있다. 
(왼쪽부터 조병옥 내무장관, 신성모 국방장관, 무초 주한 미대사, 
임병직 외무장관, 워커 주한 미군 사령관). 
 
 
▲ 1950. 7. 26. 맥아더 장군이 전선을 시찰하는 중, 
종군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오른쪽 워커 장군. 
 
 
▲ 1950. 8. 15. 이승만 대통령과 신성모 국방장관이  8.15 경축식을 끝낸 후 
임시 국회의사당인 문화극장을 떠나고 있다. 
신 국방장관은 “아침은 서울에서 먹고, 점심은 평양에서---“ 라고 상대의 전력도 
모른 채 큰 소리쳤으나 6.25 발발 후 서울시민은 팽개치고  몰래 서울을 빠져나갔다. 
 
 
▲ 1950. 8. 18. 백선엽 장군(가운데)이 미군과 함께  작전을 세우고 있다.  
 
▲ 1950. 9. 16. 구포 신병 훈련소에서 훈시하는 이승만 대통령.  
 
▲ 1951. 2. 7. 전선을 시찰하는 맥아더 장군.  
 
▲ 1951. 2. 15. 대한민국 해상 이동방송선(HLKT)을 방문한  장면 총리 일행.  
 
▲ 1951. 9. 콜트 미 8군 부사령관의 이임식장. 
(왼쪽부터 허정, 콜트, 무초 주한 미대사) 
 
 
▲ 1950. 10. 22. 평양, 북한 주민의 학살 현장.  누가 그들을 죽였을까?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1950. 11. 2. 거리에 버려진 아이들이 트럭에 실려  고아원으로 가고 있다.
눈망울이 초롱초롱한 아이는 그 후 어떻게 되었을까? 
 
 
▲ 1950. 11. 11. 바지 저고리들의 포로들.  총이나 한 번 제대로 잡아보고 포로가 되었는지?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1950. 11. 13. 함흥 덕산광산. 
482명을 생매장한 갱도에서 시신을 꺼내 늘어놓은 것을 
한 아버지가 아들을 찾고 있다. 
“제발 내 아들이 아니기를...” 
 
 
▲ 1950. 11. 13. 지아비가 생매장된 갱도 어귀에서  오열하는 지어미. 
“날라는 어찌 살라 하고 가시리잇고”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1950. 8. 12. 북한군 포로.  
 
▲ 1950. 8. 10. 폭격으로 불타는 마을.  
 
▲ 1950. 8. 10. 핫바지들을 인솔하는 미 해병대.  


댓글 없음: